반응형
오늘 글에서는 상처의 종류와 각 상처에 따라 어떻게 치료를 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처란?
상처란 절개, 외상, 화상 등으로 피부가 손상된 상태를 말하며, 밖에 손상이 있는 ‘창’과 손상이 없는 ‘상’을 합해 ‘창상’이라고 합니다.
상처의 종류
상처의 분류는 원인에 따라 절상, 화상, 찰과상, 자상, 열상, 욕창, 타박상 등으로 나뉘며 감염의 유무에 따라서 감염창과 비감염창으로 나뉩니다.
관절의 손상으로 인한 염좌나 탈구 등이 있으며, 상처에 따른 증세로는 통증, 출혈, 기능장애 등이 있습니다.
절상
끝이 예리한 물체(칼, 유리 파편 등)에 의해 피부가 잘려져 입는 상처입니다
칼이나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베어진 상처, 감염의 위험이 적습니다.
화상
주로 열에 의해 피부와 피부 부속기에 생긴 손상을 말합니다.
1도~2도의 화상
자상
자상은 끝이 예리한 물체(못, 창 등)에 의해 피부가 찔려서 입는 상처입니다.
그다지 큰 출혈은 없지만 상처가 깊으면 내부출혈을 일으킵니다,
소독이 쉽지 않아 세균감염이나 먼지가 침입할 위험성이 많습니다.
오염된 물체에 의해 상처를 입은 경우에는 세균감염으로 인한 파상풍의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열상
열상은 찢어진 상처로, 날카로운 것에 직접적으로 입는 손상이 아닌 외부의 힘에 의해 피부가 찢어져 발생하며, 위의 두 상처와는 다르게 상처의 가장자리가 울퉁불퉁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상처의 가장자리가 울퉁불퉁하여 불규칙하게 생긴 경우가 많습니다
피부가 손상된 공간이 생김으로써 피부의 신체 보호기능을 잃게 됨 절상 끝이 예리한 물체(칼, 유리 파편 등)에 의해 피부가 잘려져 입는 상처입니다.
칼이나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베어진 상처로 감염의 위험이 적습니다.
찰과상
마찰에 의하여 피부의 표면에 입는 상처로 출혈 적으며 감염의 위험이 있습니다.
욕창
한 자세로 계속 앉아 있거나 누워 있을 때 신체의 부위에 지속적인 압력으로 그 부위에 순환의 장애가 일어나 그 부분의 피하조직 손상(궤양) 발생합니다.
타박상
외부의 충격이나 둔탁한 힘(구타, 넘어짐) 등에 의해 연부 조직과 근육 등에 손상을 입어 피부에 출혈과 부종을 보이는 경우입니다
일반적으로 외부의 충격을 받아 근육이 붓고 통증이 생기며, 피부 속의 세포조직이 파괴되어 속으로 출혈이 발생하면서 검푸른 멍이 발생합니다.
상처의 단계
지혈 및 염증 단계 : 창상 내부를 청소하는 상태 (3~5일)
첫 단계인 염증기에는 혈소판이 엉겨 붙어 출혈을 막는 지혈작용과 백혈구 등 염증세포가 모여들어 외부에서 침입한 균과 죽은 조직을 제거하는 과정이 일어납니다.
증식성 단계 - 창상 부위의 피부를 재생하여 치유하는 단계 (3주)
백혈구가 분비한 성장인자의 자극에 의해 상처주위의 상피세포가 이동, 증식하여 손상된 부위를 덮고 진피층의 섬유아세포가 콜라겐과 엘라스틴 등의 섬유질을 생산하여 육아조직이라는 새살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성숙단계 - 임시로 채워진 피부를 제대로 된 피부조직으로 채우는 단계.
염증세포가 사라지고 임시로 생성된 육아 조직이 원래의 피부조직에 가깝게 성숙되는 단계입니다.
※ 1년 이상 가끔 부풀어 오르며 가렵고 따끔거릴 때는 성숙기의 지속이라 봄
자상, 열상 등의 상처 발생 시에는 어떻게 대처해야할까요?
피부가 베이거나 찔리거나 찢어지는 경우에는 모세혈관이 파열되며 출혈이 동반됩니다.
따라서 출혈을 멈추는 것이 가장 먼저 해야할 응급처치인데요.
깨끗한 거즈나 수건을 이용하여 상처 부위를 압박하는 압박지혈이 대표적입니다.
출혈량이 많아 지혈이 쉽게 되지 않는 경우에는 환부를 심장보다 높게 위치시켜 출혈을 지연시킬 수 있는데요.
지혈이 되지 않을 정도의 심각한 상처인 경우에는 스스로 대처하지 마시고 반드시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상처가 자연적으로 회복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봉합술을 통해 치료할 수 있습니다.
봉합술은 베이거나 찢겨 벌어진 피부면을 이어 붙여 안정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시술로, 출혈과 감염을 방지하고 상처의 빠른 치유를 돕습니다.
봉합술은 되도록 빠르게 시행하는 것이 흉터 발생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나, 상처 부위가 심하게 오염 된 경우에는 감염 위험이 있어, 상처가 어느정도 자연치유 되도록 기다린 후 봉합하기도 합니다.
상처에 따라 다르지만 봉합술을 받은 후 일반적으로 3일 이상은 물이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음주나 흡연, 과격한 운동은 삼가야합니다.
상처의 치료
연고
- 크거나 깊지 않은 일반적인 상처
- 식물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연고는 피부 재생을 돕고 흉터 발생을 억제함
- 염증이 있다면 항염증제 연고 사용
- 필요에 따라 영유아용, 감염 상처, 염증이 우려되는 상처를 구분하여 연고 선택
분말
- 진물이나 출혈이 있는 상처
- 넓은 부위의 상처
- 심한 통증이 수반되는 상처 습윤밴드
- 감염의 우려가 없는 찰과상이나 가벼운 상처
- 상처 부위의 진물을 흡수해 습윤 상태 유지
- 상처 부위 소독 후 완전히 건조한 후 붙여 사용
의료용 테이프
찢어진 것처럼 상처가 깊지만 출혈이 없을 때 사용
실이나 스테이플
상처가 심할 때 시행하는 병원 치료
반응형
'건강한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기가 아니라고?? : 폐렴vs 결핵 vs 알레르기 비염 (1) | 2024.02.24 |
---|---|
애사비의 효능,복용방법: 소화불량 개선,위산 역류억제,체중 감량 효과 (0) | 2024.02.22 |
홍역 예방접종 필수!!! :15세~60세에게 꼭 필요한 !!! 대상자, 예방 접종 방법 (0) | 2024.02.07 |
고혈압,당요인은 주의해야할 손상되면 회복 어려운 콩팥(ft.만성콩팥병 조기진단 체크리스트) (0) | 2024.01.24 |
목이 아플 때 인후통증 완화법 (0) | 2023.12.15 |
피부 나이를 쉽게 파악하는 방법: 손등의 핀치 테스트 (0) | 2023.12.11 |
독감(A,B) : 백신이 필수입니다!! 정말 힘듭니다 (0) | 2023.12.11 |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소아치료위기! (0) | 2023.12.08 |